본문 바로가기
<
함께사는 세상 라이프

일사부재리의 원칙과 일사부재의 원칙의 차이점 알아보기

by 현운역리원작명연구소 2024. 7. 29.
반응형

일사부재리의 원칙과 일사부재의 원칙의 이점 알아보기

 

 

일사부재리의 유래

일사부재리는 라틴어로 'ne bis in idem'이라고 하며, 이는 "동일한 사안에 대해 두 번 재판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이 원칙은 고대 로마법에서 유래했으며, 개인의 권리와 법적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발전해 왔습니다.

현대 형사 소송법에서도 이 원칙이 중요하게 적용되어, 한 번 확정된 판결에 대해서는 재심사할 수 없게 되어 있습니다.

 

일사부재의의 유래

일사부재의는 의회 운영에서 적용되는 원칙으로, 한 회기 내에 부결된 안건은 다시 상정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 원칙은 각국의 국회법이나 헌법에 규정되어 있으며, 의회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이는 일사부재리와는 다른 맥락에서 발전한 원칙으로, 의회 내 중복 논의를 막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종합적으로, 일사부재리는 고대 로마법에서 유래한 형사 소송법의 원칙이며, 일사부재의는 의회 운영을 위해 도입된 원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두 원칙은 서로 다른 맥락에서 발전해 왔지만,, 모두 법적 안정성과 효율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습니다.

 

 

일사부재리와 일사부재의는 비슷한 용어이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습니다.

 

일사부재리(一事不再理)

형사 소송에서 한 번 판결이 난 사건에 대해 다시 공소를 제기할 수 없다는 원칙입니다.

이미 판결이 확정된 사건에 대해 다시 재판을 청구하는 것은 법적 안정성을 해치고, 피고인의 인권을 침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진 원칙입니다.

 

일사부재의(一事不再議)

국회에서 한 번 부결된 안건은 같은 회기 내에 다시 제출할 수 없다는 원칙입니다.

국회에서 의결된 의안은 동일한 회기 중에 다시 발의하거나 심의하지 못한다는 원칙으로, 국회의 결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국회의 권위를 유지하기 위해 만들어진 원칙입니다.

 

 

일사부재리와 일사부제의의 차이점 요약

일사부재리(一事不再理)와 일사부재의(一事不再議)는 서로 다른 개념입니다.

 

일사부재리는 형사 소송법에서 적용되는 원칙으로, 한 번 판결이 난 사건에 대해 다시 공소를 제기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는 개인의 이익을 보호하고 법 정의를 확립하는 데 핵심적인 원칙입니다.

 

 

일사부재의는 의회 운영에서 적용되는 원칙으로, 한 번 부결된 안건을 같은 회기 내에 다시 제출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의회 운영에서 일사부제의 원칙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의회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원칙은 의회 내 토론과 안건결정 과정에서 중복을 금지하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합니다.

종합적으로, 일사부재리와 일사부재의는 서로 다른 법적 영역에서 적용되는 원칙이며, 그 목적과 기본적인 원리도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사업자 정보 표시
현운역리원 | 이덕복 | 서울시 강북구 도봉로 101길 29 4층401호 | 사업자 등록번호 : 301-91-39634 | TEL : 010-5472-2547 | Mail : bigstar7412@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2020-서울강북-0577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댓글